



















3단 무지기 플리츠스커트_화문은 전통 무지기 치마를 모티브로 한 스커트입니다.
조선 궁중 보자기 패턴인 봉황문 인문보 태평성대 패턴으로 디자인되고, 허리 리본은 진한 핑크로 포인트가 되어줍니다.
전통 무지기 치마
조선시대 여자들이 정장을 할 때 입던 속치마.
『청장관전서( 靑壯館全書 )』 사소절( 士小節 )에는 “ 먼저 짧고 작은 흰 치마를 입고 그 위에 치마를 입는데, 무족( 無足 )에 오합( 五合 ) 또는 칠합( 七合 )의 호칭이 있다. ” 라고 하였다.『조선여속고( 朝鮮女俗考 )』에서 보면 이에 주하여 “ 무족상( 無足裳 )은 짧은 데에 차가 있어 이에 따라 새[ 升 ]의 홉[ 合 ]과 같이 오합·칠합의 이름이 있는데, 접은 단은 십합위승식( 十合爲升式 )의 층을 두어 5, 6겹으로 접어서 무릎 가까이에서 위의 치마를 버티었다. ” 라고 하였다. 이 무족상 곧 무지기는 고려 때의 부인들이 입었다고 하는 선군( 旋裙 )과 동일한 제도의 치마로서, 현대의 페티코트( petticoat )와 같은 구실을 하였던 것으로, 겉치마를 푸하게 버티기 위한 것이었다. 무지기는 모시 12폭으로써 3합·5합·7합 등 홀수로 층을 이루어 한허리에 단것이다. 허리에서 무릎까지가 가장 긴 길이이며, 층과 층 사이의 단에는 나이 젊은 사람은 각색으로, 나이가 지긋한 사람은 단색으로 엷은 물감을 들여 흡사 무지개와 같았으므로, 이를 이름 지어 무지개라 하였다가 후에 무지기라 하였고, 또한 한자화하여 무족( 無足 )이라 하였다고 본다. 정장함에 있어 정식으로는 이 무지기로써 허리를 버티고 대슘치마로써 아래를 버티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무지기]
이미지 출처 : 경운 박물관
* 단하 블라우스 반팔과 매치한 이미지입니다.
< 허리 치마 입는 법 >
< 상세 페이지 >
3단 무지기 플리츠스커트_화문
* 사용하시는 기기의 해상도에 따라 실제 상품 색감과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허리치마 사이즈는 허리 33인치까지 편하게 입으실 수 있는 랩스커트 형식으로 제작되었습니다.
* 이외 사이즈를 원하시는 분들은 쇼룸과 단하 채널톡 또는 전화상담으로 맞춤 상담이 가능합니다. ( 맞춤가격 별도 )
사이즈
Size : Free ( 44 - 66 )
총 기장 : 90cm
말기 : 10cm
단 길이 : 1단 44cm / 2단 62cm / 3단 80cm
Fabric : Polyester 100%
< 패키지 >
단하의 모든 상품은 보관이 용이하도록 단하 노방 백에 곱게 포장되어 발송됩니다.
노방 백은 치마를 그대로 담아 보관하기에도, 다른 물건을 보관하기에도 좋습니다.
( 노방 백 색상은 블랙, 화이트 중 랜덤으로 포장되어 배송됩니다.)
* 쇼핑백 별도 구매
세탁방법
교환, 환불, A/S 안내
배송정보
상표 디자인 보호법
No | Subject | Writer | Date |
No Questions Have Been Created. |